서울 시청앞 덕수궁에서는 월요일을 빼고 매일 ‘왕궁 수문장 교대 의식’이 열린다. 긴 칼을 들고 덕수궁 입구인 대한문(大漢門 )을 지키고 있는 ‘조선시대 병사들’은 대부분 공익근무요원들이다. 흔히 생각하듯 ‘국군 의장대’나 ‘아르바이트 대학생’이 아니다.최용혁씨(25)도 대한문을 지키는 공익요원이다. 최씨가 소속된 곳은 서울시청 관광과로 30여명의 동료 공익요원들과 함께 일한다.2006-12-06
원래 공익요원에게는 계급이 없다. 4주간 군사훈련을 마친 뒤 받는 이등병 계급이 처음이자 끝이다. 훈련이 끝나면 다시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가 근무하기 때문이다. 같은 곳에서 일하는 공익요원들은 ‘동료 요원’일 뿐이다. 그러나 대한문을 지키는 ‘공익 병사’에겐 계급이 있다. 군대식 진짜 계급이 아니라 ‘짬밥’ 순에 따라 계급이 다른 배역을 맡기 때문이다.
최씨는 “조선시대의 계급에 맞춰 ‘진급’한다”고 소개했다. 높은 계급일수록 ‘폼’도 나고 편하기 때문에 당시 계급 체계를 그대로 따른다는 것.
하늘색 도포를 입은 수문군(守門軍)은 수가 가장 많고 ‘폼’이 덜 난다. 자연히 신참들의 몫. 일반 군대에서 같은 ‘일병’끼리 호봉을 따지듯 수문군 내에도 서열은 있다. 긴 방망이 형태의 능장(稜杖 )을 든 능장수가 제일 아래. 그런 다음 자루가 긴 칼, 협도(夾刀) 를 드는 협도수, 수문군의 깃발인 영기(令旗)를 담당하는 영기수 순으로 올라간다.
군대의 ‘상병’쯤에 해당하는 계급은 취라군(吹螺軍)과 녹사(錄事). 취라군은 나발, 용고(龍鼓) 등을 연주하는 병사. 지금의 군악대에 해당한다. 녹사는 군인이 아닌 하급 관리직이다.
취라군에서 용고를 두드리는 서장원씨(22)는 “교대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세 차례 의례 때만 잠깐 나왔다가 다시 막사에 들어가 쉴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서 있어야 하는 수문군보다는 편한 배역”이라고 말했다. 녹사는 교대의식이 치러지는 동안 행사장 주변에서 관광객들을 안내하는 일을 한다. 자유롭게 왔다 갔다 할 수 있으므로 역시 수문군보다는 편하다.
고참들은 주서(注書), 사약(司약), 엄고수(嚴鼓手 ) 역을 맡는다. 주서는 비서실에 해당하는 승정원의 관리, 사약은 궁문의 열쇠를 담당하는 액정서의 하급직원이다. 엄고수는 교대의식의 시작부터 단계마다 북(엄고)을 울려 의식의 진행을 이끄는 사람.
이들은 대한문 안쪽 한 모퉁이에 자리를 잡고 앉아 쉬다가 교대의식이 진행되는 동안만 잠시 얼굴을 비친다. 고참으로서의 여유를 나름대로 누리는 것. 녹색, 빨간색 복식을 착용해 눈에 띄는 데다 교대의식의 절차상 관람객들의 눈길을 끄는 역할이다. ‘폼’나는 배역이라는 얘기다.
공익요원들의 ‘진급’은 여기까지다. 핵심 배역이면서 계급이 높은 수문장(守門將)과 그를 보좌하는 참하관(參下官 )은 시청에서 고용한 이벤트업체 소속의 ‘전문 연기자’들이 맡는다. 나름대로 연기력이 필요한 배역이기 때문. 군대에서 일반 사병의 진급은 병장까지고 그 이상은 ‘직업군인’의 몫인 것처럼 이곳에서도 높은 계급은 ‘프로’가 차지하는 셈이다.
출처 - [커버스토리]버킹검궁엔 근위병 덕수궁엔 공익요원 2006-12-06
궁궐 앞을 지키는 수문군들은 교대의식이 치러지는 매일 오후 2시부터 3시반까지 줄곧 부동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그 시간 동안 2교대를 하지만 한 여름에는 일사병으로 쓰러지는 사람도 있다.
공익근무요원은 서울시 담당 공무원이 군 부대를 방문해 선발한다. 위엄 있게 보이도록 신장이 175㎝ 이상 돼야 한다. 2~3일 정도 연습하고 곧바로 공연에 투입돼 능장(장대).깃발 등 무거운 장비를 담당하다 고참이 되면 북을 치는 엄고수를 맡는다. 그 뒤에는 공연에 직접 참가하지 않고 진행요원으로 임무가 바뀐다. 공연이 없는 시간에 덕수궁 일대를 청소하는 것도 이들 공익요원의 몫이다. 공익요원은 한 달에 최고 7만2000원을 받는다.
출처(외국인들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 최고`)2006.07.05
지난해 6월 제대를 하고 인터넷으로 아르바이트를 알아보다 수문장이 됐다. 월급은 130만원 가량. 서울시 공무원은 아니다. 홍보업체 예문당에서 서울시의 의뢰를 받아 주관하고 있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는 공익근무 요원들이 거행했지만 '군기'가 빠져보인다는 지적에 지금은 전문업체가 맡아서 하고 있다.
[서울서울인]"난 덕수궁 수문장"2009-03-20
시간을 달리는 공익 - 32. 능력자 공익, 그 파워와 한계 (39) | 2010.10.09 |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31. 공익근무요원 근무지 어떻게 파악을 하는가? (10) | 2010.10.05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30. 인맥과 기관의 기로에서 (24) | 2010.08.31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29. 일반 공립 병원공익 (일병공) (31) | 2010.08.26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27. 상수도/아리수 공익 (물공익) (14) | 2010.08.18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26. 헌혈원&적십자 공익 (혈공) (30) | 2010.08.17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25. 카와이한 동물은 없다. 동물원 공익 (서커스공익) (17) | 2010.08.09 |
시간을 달리는 공익 - 24. 20만원짜리 수라의 자살특공대, 장애인 작업장 공익 (장자공) (37) | 201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