봐도 모르겠다..
아래가 더 쉽게 만든 표
2G
한국 통신사 주파수 할당 내역 - CDMA2000[1] | ||||
통신사 | 주파수 | 상향 대역폭 | 하향 대역폭 | 기타 |
SK텔레콤 | Band 0 800 MHz | 5 MHz | 5 MHz | CDMA 글로벌 통용 주파수 |
LG U+ | Band 4 1.8 GHz | 10 MHz | 10 MHz | 전 세계에서 LG U+만 CDMA로 사용[2] |
3G 리스트
한국 통신사 주파수 할당 내역 - WCDMA | ||||
통신사 | 주파수 | 상향 대역폭 | 하향 대역폭 | 기타 |
SK텔레콤 | Band 1 2.1 GHz | 20 MHz | 20 MHz | WCDMA 글로벌 통용 주파수 |
KT | Band 1 2.1 GHz | 20 MHz | 20 MHz | |
LG U+ |
LTE 밴드
한국 통신사 주파수 할당 내역 - LTE-FDD/TDD | ||||
통신사 |
주파수 |
상향 대역폭 | 하향 대역폭 | 기타 |
SK텔레콤 | Band 3 1.8 GHz | 10+5 MHz | 20 MHz | |
Band 5 850 MHz | 10 MHz | 10 MHz | 전 대역 Band 26에 포함 | |
Band 1 2.1 GHz | 10 MHz | 10 MHz |
기존 skt의 3G 전 대역 중 20Mhz대역으로 LTE로 전환하여 서비스개시(2014.5) | |
KT | Band 3 1.8 GHz | 10+5 MHz | 20 MHz | |
Band 8 900 MHz | 10 MHz | 10 MHz | ||
Band 26 800 MHz | 5 MHz | 5 MHz | 현재 미 사용. 기지국 및 지원 단말기 전혀 없음. | |
LG U+ | Band 1 2.1 GHz | 10 MHz | 10 MHz | |
Band 5 850 MHz | 10 MHz | 10 MHz | 전 대역 Band 26에 포함 | |
Band 7 2.6 GHz | 20 MHz | 20 MHz |
- 출처 https://mirror.enha.kr/wiki/LTE
다음 표를 보면 알지만 3G의 경우 전세계 통신사가 거의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1 이슈가 없다.
문제는 LTE다. LTE의 경우는 주파수의 파편화가 다시 생겼고 국가간에 다른 밴드를 쓰는 등 일일히 비교를 해야 한다. 물론 이를 대비해서 스마트폰의 경우 여러 밴드를 지원하고는 있지만 다른 문제로 3G를 사용할 수 밖에 없기도 하다
SKT - 1,3,5
KT - 1,8, 26
LG - 1, 5 ,7
통신사 |
3G |
LTE Band |
Vodafone (영국) | 900 2100 |
800(20) |
Claro(브라질) |
850 2100 |
2600(7) |
AT&T(미국) |
850 1900 |
700(17 1700(4) 1900(2) |
Globe(필리핀) |
900 2100 |
1800(3) |
SingTel (싱가포르) |
900 2100 |
1800(3), 2600(7) |
PCCW (홍콩) |
2100 | 1800(3) |
China unicom (중국) |
2100 |
TDD라 거의 사용 불가 |
Optus (오스트렐리아) |
900 2100 |
1800(3) 2300(40) |
Bouygues (프랑스) |
900 2100 |
800(20) 1800(3) 2600(7) |
DTAC (태국) |
850 2100 | 2100(1) |
Emobile |
900 1700 2100 |
1800(3) (9) |
Softbank (일본) | 900 1500 2100 |
2100(1) |
TIM (이탈리아) |
2100 |
1800(3) |
Deutsche Telekom (독일) |
2100 |
800(20) 1800(3) 2600(7) |
Bell (캐나다) |
850 1900 |
1700(4) 2600(7) |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LTE_networks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UMTS_networks
기본적으로 많이 가볼 법한 나라들을 위주로 조사를 하였다. 위 밴드를 보면 간단하게 이해가 가능한데 3G의 경우에는 대부분 사용이 가능하다.
단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갤럭시S2의 경우에는 GSM 900/1800/1900 3G UMTS 900/2100를 지원한다 저 표에서 보면 얼둣아 거의 대부분 2100 주파수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이 가능하다. 또 최신폰인 갤럭시S5의 경우 850/900/1900/2000을 지원한다.
|
자 그러면 3G는 금방 해결되는데... 문제는 LTE다.
아이폰5를 예시로 들면 한국에 출시도니 모델은 1(2100), 3(1800), 5(850) 밴드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저 표에 대입을 해 보면 LTE가 가능한지, 가능하지 않은 사업자가 갈린다. LG G3의 경우도 LTE 800(26) / 1800(3) / 2600(7)를 지원하고 있다.
또 다른 모델인 베가 아이언2를 보면 SKT향은 1,3,5,7 - 2100 1800 850 2600를 지원하고 있으며 KT향은 LTE: 밴드 1,3,7,8 - 2100 1800 2600 900을 쓰고 있다.
즉 일일히 자신의 스마트폰을 찾아서 밴드를 확인해야 하는데.. 한국의 경우 이 정보를 게시하는 경우가 많지가 않다. 마이너하게 팔린 폰의 경우는 더욱 심해서 정보를 찾기가 힘들다. 공식홈페이지를 가도 밴드 주파수에 대한 정보가 없을 정도. 2
속 시원하게 쓰고자 하면 3G를 쓰면 모든 문제는 해결이 된다. 하지만 더 빠른속도를 생각하면 LTE도 생각해 봄 직 하다. 그럴경우는 폰 정보를 찾아서 가고자 하는 나라의 주파수가 맞는지 확인을 하면 된다.
이게 은근히 스트레스 받는 부분이다. APN이 자동으로 되는 경우도 있지만 모르는 경우 이걸 알 방법이 쉽지 않다는 것. 이렇게 앱을 통해서 긴급상황을 대비할 수 있다.(구글 플레이 마켓에도 있다.)
빅카메라 일본 심카드 (3달 사용가능/4000엔) (15) | 2015.04.07 |
---|---|
글로벌홍폰과 비브랜드 폰의 차이 - 데이터 수신율과 시그널 (0) | 2014.11.25 |
베트남 선불유심과 통신사 플랜 (14) | 2014.11.04 |
동남아지방에서 무제한 요금제는 쓸모가 있을까? (6) | 2014.10.22 |
항덕의 날개 - 31. 국가별로 돌아본 마트 (1) | 2013.06.17 |
항덕의 날개 - 30. 코카콜라는 국가마다 다르다. (10) | 2013.06.09 |
항덕의 여행 - 29. 기내식과 비행기와 엔터테이먼트 (3) | 2013.06.05 |
항덕의 여행 - 28. 콘센트와 변환잭 (2)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