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지원 측위 Assisted GPS, AGPS, -支援測位 [무선]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 정보를 단말기 내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 주는 측위 기술.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의 위성을 사용할 경우라도 도심 지역이나 실내에서는 정확도와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의 네트워크 방식과 결합한 방식이다. 즉, 단말기는 위성과 무선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측위를 위한 측정치를 수집하여 위치를 측정하거나 수집된 정보를 위치 측위 시스템인 PDE에 보내고 PDE에서는 단말기에서 보낸 정보와 기지국에서 생성된 정보를 혼합하여 단말기 위치를 측정한다.
- 출처 http://word.tta.or.kr/
GPS와 A-GPS 등이 현재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LBS에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술들입니다. A-GPS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서버에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위치정확도는 50~100m 전후입니다.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을 활용하고, 휴대폰 기반의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위치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출처 - http://blog.naver.com/qnwk00/140044332539
정밀 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精密- [위성통신]
GPS 오차 보정 기술. GPS 시스템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 지상의 방송국에서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로 확인한 위치와 실제 위치와의 차이를 전송하여 오차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 출처 http://word.tta.or.kr/
GPS 를 한 단계 진보시켜 정확도를 높인 기술이 바로 DGPS입니다. DGPS는 미리 정확하게 측정된 고정위치에서 GPS 위성신호를 수신해 그 위치오차를 줄인 후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는 GPS신호에서 수신한 DGPS 신호를 보정해 보다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지상의 기준국으로부터 GPS 오차정보를 받아 보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위치정확도는 1~3m입니다. 고가인데다 단말기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만, 정확도가 높은 만큼 고정밀 측위 등에 활용됩니다. 특히 DGPS는 해양수산부가 해상교통안전을 비롯해 해양조사 및 측량 등을 위해 도입, 운영하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DGPS 시스템은 중앙사무소, 기준국, 감시국으로 구성됩니다. 중앙사무소는 기준국과 감시국의 DGPS 시스템 운영상태에 대한 실시간 원격 감시 및 제어, 측위 정보에 대한 감시, 기준국 및 감시국 측위오차 분석을 통한 GPS강용 상태 확인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 준국은 정확한 기준점에서 GPS위성 신호를 수신, 측정된 거리와 이미 알고있는 거리를 비교한 이후 위성 오차값을 보정해 중파(283.5~325㎑)를 이용해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감시국은 기준국으로부터 약 185㎞ 지점에서 GPS안테나를 이용해 위성오차 보정신호를 감시, 한계치를 벗어날 경우와 위성신호 이상시 경보메시지를 중앙사무소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DGPS 는 향후 선박, 항공기, 차량 등 각종 교통수단의 정확한 운행을 위한 위치 측정에 활용되는 한편 농업부문, 자원관리, 각종 시설물 관리를 위한 정확한 측량과 지도제작 등에도 응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재해발생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 수색ㆍ구조활동에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qnwk00/140044332539
30인치 모니터, 그만한 가치는? (20) | 2010.10.31 |
---|---|
1분만에 하는 간단한 ATi 동영상가속 적용 방법 - 팟플레이어 (DXVA) (23) | 2010.10.22 |
인터넷 익스플로러9 베타 : GPU 렌더링으로 더욱 빨라진 익스플로러 9! (19) | 2010.09.17 |
리눅스로 돌리는 저사양 HTPC, GeeXbox (3) | 2010.09.16 |
재앙에 가까운 집안 인트라넷 (34) | 2010.08.19 |
애플 무선 키보드와 BW-200U로 윈도우7에서 사용하기 (17) | 2010.08.05 |
야후! 퍼플나이트 - 3. 탑 클라우드의 식사 (8) | 2010.08.04 |
야후! 퍼플나이트 - 2. 온라인 세상의 중심, 새로운 야후는 무엇인가? (2) | 2010.08.04 |